2024.09.11 (수)

  • 흐림동두천 25.3℃
  • 흐림강릉 23.3℃
  • 박무서울 28.3℃
  • 구름많음대전 25.3℃
  • 흐림대구 25.3℃
  • 천둥번개울산 25.1℃
  • 구름많음광주 27.2℃
  • 흐림부산 28.0℃
  • 흐림고창 27.3℃
  • 제주 27.4℃
  • 흐림강화 26.5℃
  • 흐림보은 25.0℃
  • 흐림금산 25.5℃
  • 흐림강진군 25.7℃
  • 흐림경주시 24.8℃
  • 흐림거제 25.9℃
기상청 제공

스포츠

[골프잡학사전] 핀 위치 설정 방법은?

“오늘은 핀 위치가 굉장히 어렵네요”

(한국물류서비스신문) 아마추어 골퍼를 비롯한 프로골프 선수 사이에서도 간혹 들을 수 있는 탄성이다. 같은 골프장 같은 코스라 해도 핀 위치에 따라 난이도는 크게 달라진다. 그린 중앙이나 평평한 곳에 홀이 있으면 상대적으로 쉽게 플레이 되는 반면 그린 사이드 벙커 부근이나 페널티구역과 가까운 곳에 홀이 있다면 타수를 줄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핀 위치란 그린에서 홀의 위치를 뜻하는 단어로 홀 로케이션(Hole Location)이라고 부른다. 프로골프대회를 주관하는 각 단체에서는 핀 위치 선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두고 있다. KPGA 코리안투어도 마찬가지다. KPGA 코리안투어 경기위원회에서는 대회 시작 전 코스 세팅을 하면서 핀 위치 지점을 택한다. 이때 각 라운드별 핀 위치 지점을 미리 정해 놓는다. 물론 라운드 당일 날씨와 바람의 세기, 코스 및 그린의 상태 등 여러 요인에 따라 핀 위치는 변경되기도 한다.


핀 위치는 그린 좌측과 우측의 균형을 맞춰서 설정돼야 한다. 너무 좌측으로 편향되어도 안되고 우측만 고집해도 안된다. 한 라운드 18홀 중 그린 좌측과 우측의 핀 위치 비율이 비슷해야 하며 그린 중앙 기준 뒤쪽과 앞쪽의 비율도 맞춰야 한다. 그린에서의 위치도 중요하지만 난이도도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경기위원회는 각 홀마다 핀 위치 지점 4개 구역을 정한다. 가장 어려운 곳부터 상대적으로 쉬운 지점까지 1부터 4까지 숫자로 구분한 뒤 한 라운드의 핀 위치 난이도 조합이 45가 되도록 해야 한다.


경기위원회의 고유 영역인 핀 위치 설정은 팬 서비스 차원으로 특정 홀을 팬 투표로 결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한다. 2018년 경기 용인시 소재 레이크사이드컨트리클럽 서코스에서 진행된 KPGA 코리안투어 ‘KEB하나은행 인비테이셔널’ 최종라운드 17번홀(파3)의 핀 위치가 갤러리의 투표로 정해지기도 했다.


PGA투어는 지난 3일(한국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TPC 스코츠데일에서 막을 내린 ‘웨이스트 매니지먼트 피닉스오픈’ 최종일 16번홀(파3)의 핀 위치를 특별하게 설정했다. 헬리콥터 추락사고로 세상을 떠난 ‘NBA 전설’ 코비 브라이언트를 추모하며 그의 현역시절 등번호에 맞춘 것이다. 핀 위치는 그린 앞에서 24야드, 왼쪽에서 8야드 지점이었고 코비 브라이언트의 LA 레이커스 시절 등번호는 8번과 24번이었다. 또한 아침 8시 24분에 핀 위치 작업을 그 의미를 더했다.


[뉴스출처 : KPGA]


생활물류

더보기
한국시니어산업융복합협회, 시니어 산업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스포츠라이프) 대한민국이 급속히 초고령화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시니어 산업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2025년이면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 시니어층으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와 도전 과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2일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 시니어 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한 간담회가 개최됐다. 이번 간담회는 한국시니어산업융복합협회 권오금 회장의 주도 아래 열렸으며, 민병덕 국회의원을 비롯한 여러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시니어 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펼쳤다. 권오금 회장은 개회사에서 "초고령화사회로의 빠른 진입은 우리에게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안겨주고 있다"며, "시니어 산업의 활성화는 단순히 경제적 측면을 넘어, 시니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는 시니어 산업이 단순히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사회적 책임과 가치 창출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간담회에서는 특히 시니어를 위한 맞춤형 정책과 산업 전략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됐다. 참석자들은 시니어의 생체 리듬과 건강 상태에 맞춘 정책과

사회·문화

더보기

스포츠

더보기

포토리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