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9 (화)

  • 흐림동두천 27.4℃
  • 흐림강릉 27.6℃
  • 흐림서울 26.4℃
  • 대전 23.7℃
  • 흐림대구 25.9℃
  • 박무울산 26.8℃
  • 흐림광주 25.6℃
  • 흐림부산 25.7℃
  • 흐림고창 26.0℃
  • 구름많음제주 32.8℃
  • 흐림강화 25.2℃
  • 흐림보은 23.4℃
  • 흐림금산 23.1℃
  • 흐림강진군 26.2℃
  • 흐림경주시 27.7℃
  • 흐림거제 24.9℃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서울시 위례선 트램 차량 디자인 확정, `25년부터 달린다

서울시 엠보팅, 현장 선호도조사 총 6,525명 참여, 시 공공디자인진흥위원회 최종 심의 확정

 

 

 

(한국물류서비스신문) 서울시는 위례선 트램(노면전차) 차량 디자인 선정을 위해 지난 9월부터 전문가 자문회의(2회), 현장 시민 선호도조사 및 엠보팅 투표, 서울시 공공디자인진흥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선정된 디자인을 발표했다.

 

선정된 차량 디자인은 유선형의 안정적인 느낌을 주는 외형에 위례신도시에 속하는 3개 도시(서울시 송파구, 경기도 성남시, 경기도 하남시) 로고의 공통색인 빨강과 파랑의 중간계열 색상으로써 각 도시의 화합을 상징하는 보라색(Purple)을 포인트로 주었다.

 

서울시 공공디자인진흥위원회 심의 전 실시한 현장 선호도조사 및 서울시 엠보팅(모바일 투표) 결과 총 6,525명이 참여했으며 외부는 보라색의 3안, 내부는 파란색의 2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외부 디자인은 서울시 엠보팅(모바일 투표) 2,982명과 현장 시민 선호도조사에 참여한 주민 3,543명 등 총 6,525명이 투표한 결과, 빨강 2,074명(31.8%), 메탈그레이(Metal Gray) 1,853명(28.4%), 보라 2,598명(39.8%)으로 나타나 3안인 보라색이 가장 많은 표를 받았다.

 

또한 차량 내부는 총 6,269명 중 3,019명인 48%가 파랑 계열의 시트를 적용한 2안에 가장 많은 표를 던졌다.

 

디자인 전문가들의 자문회의를 거쳐 선발된 디자인(안) 중, 시민들의 참여로 외부 보라색(3안), 내부 파란색(2안)이 결정됐다.

 

차량 외부의 보라색은 위례신도시(위례성)를 첫 도읍으로 삼았던 백제 온조왕의 도포 색상과 비슷한 계열로써 우아함과 화려함을 상징한다. 차량 내부는 통로 확폭형과 통창을 적용하여 채광과 개방감을 증대했고, 파랑 계열 색상의 의자 시트를 적용하여 쾌적함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위례선(트램)은 서울 남동부 송파구 남쪽에 있는 대규모 신도시인 위례신도시의 교통난 해소 및 대중교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마천역(5호선)에서 복정역(8호선‧수인분당선)과 남위례역(8호선)까지 총 연장 5.4㎞을 트램으로 연결하는 친환경 신교통 사업이다. ’25.9월 개통 예정이다.

 

김성보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차량 디자인 주민 선호도조사에 많은 관심과 참여에 감사드린다며, ’23.2월까지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25.1월까지 총 10편성을 위례선 본선에 반입할 것이며 국내 최초로 상용화되는 무가선 트램이 안전하게 제작될 수 있도록 철저하게 감독하겠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서울특별시]


생활물류

더보기
퀵서비스 시작 과 미래
퀵서비스 시작 과 미래 1993년3월 역사적인 날 퀵서비스라는 업종이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이 되었다. 주)퀵서비스 임항신 대표가 그주인공이다. 그는 1992년 당시 일본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무엇을 할까 고민하다가 일본에서 보았던 오토바이 특송사업을 우리나라에서도 적용을 하면 대성할것이라고 확신을 갖고 1993년 3월 부터 본격적으로 퀵서비스사업을 시작하였다. 당시만 해도 용산전자상가나 을지로,동대문,세운상가등에 가전제품이나 컴퓨터,주방기구등을 배송하는 사람들은 있었지만 서류,샘플 등 급하게 배송하는 업체는 없었던것이다. 처음 시작할때는 기업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모르고 사용하지못하였으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서 매스컴(동아일보)에서 1994년 6월 처음 보도가 되면서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하고 전화가 빗발치듯 물량이 늘어나기 시작하였고, 그때만 해도 주먹구구식의 오더 배차로는 한계가 있다고 느끼던중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시스템을 배워 접목하면서 발전을 거듭하였다 퀵서비스가 본격적으로 발전한 이유중 가장 결정적인 것은 퀵서비스협회의 탄생이 아닌가 싶다. 냇가의 모래알 처럼 동네 어귀마다 각각 따로 영세사업을 하던 퀵서비스 업체들을 한데모아 영세시장속 환경을

사회·문화

더보기

스포츠

더보기

포토리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