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2.7℃
  • 흐림강릉 23.5℃
  • 서울 24.4℃
  • 흐림대전 24.8℃
  • 대구 23.8℃
  • 흐림울산 24.7℃
  • 광주 24.2℃
  • 부산 24.3℃
  • 흐림고창 25.0℃
  • 흐림제주 27.8℃
  • 흐림강화 23.0℃
  • 흐림보은 23.4℃
  • 흐림금산 24.3℃
  • 흐림강진군 24.7℃
  • 흐림경주시 24.8℃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기상청, 겨울 하면 궁금한 눈 이야기

 

(스포츠라이프) 겨울이 되면 눈소식이 궁금하실 텐데요!

눈은 아름답기도 하지만, 많은 눈이 내리면 피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겨울철 기상정보 확인하고 안전 꼭 챙겨주세요!

 

Q. 나만 몰랐던 첫눈?

 

첫눈은 주로 늦은 밤이나 새벽에 눈 날림을 포함한 약한 눈, 비와 섞인 진눈깨비로 내려 쌓이는 경우가 드물어요. 또한, 계절의 빠르고 늦음의 지역적 차이 등 기후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정해진 지점에서의 계절 관측 결과를 발표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체감하는 것과 다를 수 있어요.

 

Q. 눈이 내리는 시기는?

 

눈은 겨울에만 내릴 것 같지만, 보통 첫눈은 11월에 내리는데요. 올해 역시 11월 17일 서울을 비롯해 인천, 수원, 백령도, 무주, 진안, 장수 등 전국 곳곳에서 첫눈 소식이 전해졌었죠.

 

▲ 서울 첫눈 기록(1907~)

- 가장 빠른 관측 : 1981년 10월 23일

- 가장 느린 관측 : 1948년 12월 31일

* 첫눈 시작과 끝을 더 알고 싶다면?

→ 기상자료개발포털에서 확인 데이터 ' 지상 ' 계절관측 ' 첫눈

 

Q. 부산에도 눈이 올까요?

 

겨울이면 기다려지는 눈 소식인데, 눈이 잘 내리지 않는 곳도 있어요. 같은 남부지방인 전라도, 제주의 많은 눈과 달리 부산은 눈이 귀하다고 하죠. 그 이유를 살펴볼게요.

 

서해상에서 만들어지는 눈구름이 소백산맥을 넘지 못하고 흩어져 사라짐. 북쪽에서 동해를 지나면서 온난해진 동풍의 영향을 받거나, 남쪽을 통과하는 저기압으로부터 불어 드는 따뜻한 남풍으로 인해 눈 대신 비가 자주 옴.

 

Q. 많은 눈이 늦게까지 내리는 곳은?

 

강원도 영동지방 하면 무릎까지 쌓인 눈더미, 흡사 겨울왕국의 한 장면을 연상하게 되는데요. 특히 봄을 앞두고 많은 눈이 내리기도 하죠.

 

차가운 바람이 따뜻한 동해를 가로질러 습한 공기를 몰고 오고, 동풍이 태백산맥을 타고 오르며 폭발적으로 쏟아진 눈.

2021년 3월 1일 90cm 가까운 폭설은 동풍과 남서쪽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의 영향.

 

Q. 눈 예보와 대비

 

많은 눈이 예상될 때 대설특보가 발표되지만, 눈의 형태와 무게에 따라 눈 피해의 정도는 크게 다를 수 있어요. 또한, 눈이 잦지 않은 곳은 적은 양의 눈에도 도로 상황 등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 기상정보를 활용해 주세요!

 

▲ 겨울철 안전을 지켜요

- 대설특보 발표 전과 후 행동요령 알아두기

- 매일 예보 확인하고 옷차림, 집 안팎 시설물 정비, 대중교통 이동 등 적절한 대응하기

 

[뉴스출처 : 기상청]


생활물류

더보기
퀵서비스 시작 과 미래
퀵서비스 시작 과 미래 1993년3월 역사적인 날 퀵서비스라는 업종이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이 되었다. 주)퀵서비스 임항신 대표가 그주인공이다. 그는 1992년 당시 일본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무엇을 할까 고민하다가 일본에서 보았던 오토바이 특송사업을 우리나라에서도 적용을 하면 대성할것이라고 확신을 갖고 1993년 3월 부터 본격적으로 퀵서비스사업을 시작하였다. 당시만 해도 용산전자상가나 을지로,동대문,세운상가등에 가전제품이나 컴퓨터,주방기구등을 배송하는 사람들은 있었지만 서류,샘플 등 급하게 배송하는 업체는 없었던것이다. 처음 시작할때는 기업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모르고 사용하지못하였으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서 매스컴(동아일보)에서 1994년 6월 처음 보도가 되면서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하고 전화가 빗발치듯 물량이 늘어나기 시작하였고, 그때만 해도 주먹구구식의 오더 배차로는 한계가 있다고 느끼던중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시스템을 배워 접목하면서 발전을 거듭하였다 퀵서비스가 본격적으로 발전한 이유중 가장 결정적인 것은 퀵서비스협회의 탄생이 아닌가 싶다. 냇가의 모래알 처럼 동네 어귀마다 각각 따로 영세사업을 하던 퀵서비스 업체들을 한데모아 영세시장속 환경을

사회·문화

더보기

스포츠

더보기

포토리뷰

더보기